분류 전체보기88 개인정보관리사 CPPG 42회 합격 후기 정처기에 이어서 바로 적어보는 CPPG 합격 후기 ! 전공자임에도 불구하고 정처기보다 훨씬 어렵게 느꼈다. 사실 시험을 보자마자 응.. 다음에.. 또 봐야겠다.. 싶었는데 미쳤다. 한번에 합격을 해버렸다. 각 과목은 40점을 무조건 넘어야하고 평균 60점이어야 합격인데, 너무 잘봐버렸다 하하 시험은 서초고? 에서 봤다. 이건 그냥 기록용이고.. 이제 공부 방법을 살짝 이야기해보자면 책은 이걸로.. 아마 거의 모든 수강생들이 이걸로 공부하지 않았을까? 공부는 2주는 설렁설렁 하고 2주는 빡세게 했다. 2주동안 책 한권을 쭉 밑줄 치면서 읽었다. 그러면서 외워야하는 숫자들을 표시했다. 이후 1주일은 각 과목의 전체적인 개요나 중요한 부분을 써가며 더 머리에 익히고 문제를 풀었다. 각 과목을 다.. 2024. 9. 16. 정보처리기사 필기, 실기 합격 후기 (2024년 2회) 정보처리기사 합격했다 !추석을 맞아 간단히 후기를 남겨보고 싶어 글을 쓴다. 기본적으로 정보처리기사는 필기와 실기를 모두 합격해야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이다. 필기는 과락 40점, 평균 60점 이상이어야 합격이고 실기는 60점 이상이어야 합격이다. 필기는 CBT 형식으로 시험장에서 컴퓨터로 객관식 문제들을 풀어야 하고, 실기는 펜으로 단답형 문제들을 풀어야 한다. 필기와 실기 모두 여유롭게 합격했다. 필기나는 이 책으로 공부했다. 책을 구매하면 pdf 파일을 하나 다운받을 수 있는데, 그걸로 개념을 한번 슥 읽어보고 문제를 풀었다. pdf 양이 꽤 됐던걸로 기억을 하는데, 나는 버스에서나 틈날때 pdf를 읽으면서 개념을 대충 읽었다. 문제은행식이기도 하고, 유형이 다 비슷하기 때문에 기출문제는 꼭 .. 2024. 9. 16. DNS에 대하여: Domain name resolver, DNS 공격 종류, AS Domain name hierarchy 모든 도메인 이름은 top-level domain을 갖는다. 그 이름을 소유하고 있는 조직의 위치나, 목적을 반영하여 정해지며 generic TLD는 특정 나라와 연관되어 있지는 않다. 대표적인 generic TLD로는 .com, .edu, .org 등이 있다. Country code TLD는 ISO 표준 3166에서 정한 버전에 의거하여 두글자 약자에 기반하여 나라와 연관된 이름을 짓는다. 예를 들어 .kr, .jp, .uk 등이 있다. 도메인 이름은 계층이 존재한다. 항상 순서는 local subdomain(optional).subdomain.TLD 순으로 이루어지며 subdomain은 도메인 레지스터에 의해 할당된다. local subdomain이란 제공된 서.. 2022. 5. 9. IP에 대해서 : subnet mask, NAT (수업시간에 배운거 복습하려고 쓰는 글) IP주소란 네트워크 레벨에서의 논리적인(변하는) 주소 -> 위치에 따라서 IP가 바뀔 수 있다(네트워크가 다르면) IPv4 주소는 네트워크의 모든 디바이스마다 독특하게 확인할 수 있는 4바이트 주소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된다. A,B,C,D,E 클래스로 나누어짐 클래스마다 정해진 비트패턴이 있어서 클래스 구분이 가능하다 Subnet mask masking은 IP주소에서 네트워크 주소나 서브넷 주소를 발췌하는 과정 subnet은 네트워크를 더 작은 네트워크로 쪼갬으로써 달성됨 (필요한 네트워크 주소만 호스트 IP로 할당할 수 있게 해서 네트워크 낭비를 방지) subnet mask는 특정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분리 선을 정의함 network prefix .. 2022. 5. 3. 이전 1 2 3 4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