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8 개인정보관리사 CPPG 42회 합격 후기 정처기에 이어서 바로 적어보는 CPPG 합격 후기 ! 전공자임에도 불구하고 정처기보다 훨씬 어렵게 느꼈다. 사실 시험을 보자마자 응.. 다음에.. 또 봐야겠다.. 싶었는데 미쳤다. 한번에 합격을 해버렸다. 각 과목은 40점을 무조건 넘어야하고 평균 60점이어야 합격인데, 너무 잘봐버렸다 하하 시험은 서초고? 에서 봤다. 이건 그냥 기록용이고.. 이제 공부 방법을 살짝 이야기해보자면 책은 이걸로.. 아마 거의 모든 수강생들이 이걸로 공부하지 않았을까? 공부는 2주는 설렁설렁 하고 2주는 빡세게 했다. 2주동안 책 한권을 쭉 밑줄 치면서 읽었다. 그러면서 외워야하는 숫자들을 표시했다. 이후 1주일은 각 과목의 전체적인 개요나 중요한 부분을 써가며 더 머리에 익히고 문제를 풀었다. 각 과목을 다.. 2024. 9. 16. 정보처리기사 필기, 실기 합격 후기 (2024년 2회) 정보처리기사 합격했다 !추석을 맞아 간단히 후기를 남겨보고 싶어 글을 쓴다. 기본적으로 정보처리기사는 필기와 실기를 모두 합격해야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이다. 필기는 과락 40점, 평균 60점 이상이어야 합격이고 실기는 60점 이상이어야 합격이다. 필기는 CBT 형식으로 시험장에서 컴퓨터로 객관식 문제들을 풀어야 하고, 실기는 펜으로 단답형 문제들을 풀어야 한다. 필기와 실기 모두 여유롭게 합격했다. 필기나는 이 책으로 공부했다. 책을 구매하면 pdf 파일을 하나 다운받을 수 있는데, 그걸로 개념을 한번 슥 읽어보고 문제를 풀었다. pdf 양이 꽤 됐던걸로 기억을 하는데, 나는 버스에서나 틈날때 pdf를 읽으면서 개념을 대충 읽었다. 문제은행식이기도 하고, 유형이 다 비슷하기 때문에 기출문제는 꼭 .. 2024. 9. 16. DNS에 대하여: Domain name resolver, DNS 공격 종류, AS Domain name hierarchy 모든 도메인 이름은 top-level domain을 갖는다. 그 이름을 소유하고 있는 조직의 위치나, 목적을 반영하여 정해지며 generic TLD는 특정 나라와 연관되어 있지는 않다. 대표적인 generic TLD로는 .com, .edu, .org 등이 있다. Country code TLD는 ISO 표준 3166에서 정한 버전에 의거하여 두글자 약자에 기반하여 나라와 연관된 이름을 짓는다. 예를 들어 .kr, .jp, .uk 등이 있다. 도메인 이름은 계층이 존재한다. 항상 순서는 local subdomain(optional).subdomain.TLD 순으로 이루어지며 subdomain은 도메인 레지스터에 의해 할당된다. local subdomain이란 제공된 서.. 2022. 5. 9. IP에 대해서 : subnet mask, NAT (수업시간에 배운거 복습하려고 쓰는 글) IP주소란 네트워크 레벨에서의 논리적인(변하는) 주소 -> 위치에 따라서 IP가 바뀔 수 있다(네트워크가 다르면) IPv4 주소는 네트워크의 모든 디바이스마다 독특하게 확인할 수 있는 4바이트 주소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된다. A,B,C,D,E 클래스로 나누어짐 클래스마다 정해진 비트패턴이 있어서 클래스 구분이 가능하다 Subnet mask masking은 IP주소에서 네트워크 주소나 서브넷 주소를 발췌하는 과정 subnet은 네트워크를 더 작은 네트워크로 쪼갬으로써 달성됨 (필요한 네트워크 주소만 호스트 IP로 할당할 수 있게 해서 네트워크 낭비를 방지) subnet mask는 특정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분리 선을 정의함 network prefix .. 2022. 5. 3. 백준 C언어 7568번 덩치 : for문을 이용하면 쉽게 풀리는 문제 사람 : A 몸무게 : x kg 키 : y cm 사람 : B 몸무게 : p kg 키 : q cm xp && y 정할 수 없다 N을 입력 받아서 N명의 키랑 몸무게를 입력하고, 순위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순위 = 자신보다 덩치가 큰 사람 수 + 1 scanf가 똑바로 작동을 안해서 맨 위에 define을 이용하여 scanf가 똑바로 돌아가도록 만들어줬다. cnt는 처음에 초기화하지 않으면 이상한 수부터 시작해서 하나씩 더해가기 때문에 원하는 답이 나오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한번에 초기화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에 순위는 cnt[i]만 출력할게 아니라 반드시 1을 더해서 출력해야 한다.! 등수니까 (나에게 하는 얘기) 2022. 3. 29. 퍼징 Fuzzing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 이번에 퍼징에 관한 논문 분석을 하는 프로젝트를 하게 되었는데,, 미리 개념이라도 공부를 해두면 좋을 것 같아 글을 써본다. fuzzing = fuzz testing 컴퓨터 프로그램에 유효한 예상치 않은, 또는 무작위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다. 이후 프로그램이 충돌이나 코드검증 실패, memory leak 발견 등의 예외가 일어나는지 감시를 한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보안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무작위의 데이터를 넣어가며 감시를 하는 것을 말한다. 1990년대 초 이후 퍼징은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성을 발견하기 위해 널리 보급된 기술중 하나이다. 이 퍼징은 공격자가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방어자들도 사용하기 시작했다. 세계적인 IT/SW 기업에서는 보안개발을 할 때 퍼징을 채택.. 2022. 3. 29. 이전 1 2 3 4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