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필자는 우주하마의 왕팬이다( •̀ ω •́ )y
요즘 우주하마 채널에서 로블록스를 이용한 게임들을 시청자들과 하는 모습을 볼수 있는데 무척 재밌다..
독사들과의 케미가 엄청남 ㅎ
암튼 이 얘기를 왜 하냐면,,! 요즘 핫하다는 메타버스에 대해서 포스팅하고 싶어서이다.
로블록스는 메타버스를 이용해서 만든 게임이다.(우주하마 언급한 이유)
암튼 뭐,, 메타버스를 공부해볼겸 정리해보려 한다.
메타버스는 meta(초월, 추상, 가상) + universe(우주) 합성어로 가상환경에서 실제처럼 생활하도록 만든 하나의 플랫폼..? 기술이다.
내가 메타버스라는 단어를 처음 들은건 작년정도 인것 같다. 코로나19로 비대면 환경에서 많은 일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 속에서 대면 활동의 욕구를 해소할 방법이 메타버스 였는지도 모르겠다.
이 메타버스 세상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세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1. 아바타
-> 가상환경에서 생활을 하는 나 자신을 만들어야 한다. 물론 이 가상환경에서 '나'는 현실세계의 '나'와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는 기기가 필요하다.
2. 현실 모델
-> 가상환경의 내가 생활을 하는 것에 현실세계의 내가 물입할 수 있도록 현실의 모델이 필요하다.
3. 증강현실 시스템
-> 일상세계와 가상세계를 연결하는 센서, 네트워크 장치, 인터페이스 등의 매개자 역할을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메타버스라는 단어 자체는 1992년에 등장하였지만, 최근 VR, AR 등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 조건들을 충족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른 사람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면 이 메타버스가 어떤 장점을 갖고 있는가..!
기존 인터넷과는 다른 큰 장점이 있으니까, 이에 사람들이 열광한다고 생각한다.
메타버스는 많은 영역에 장점을 가져다 줄 것이다.
먼저 교육면에서 큰 혁신 요소를 가져올 것이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었고, 이에 따른 한계점이 드러났다. 개개인의 학습 집중도를 파악하기 어렵기도 하고, 학생들도 2D 수준으로 상호작용이 너무 적기 때문에 수업에 집중하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메타버스 환경에서 교육을 진행하게 된다면, 수많은 자료 활용이 가능해지고 개개인의 학습 집중도가 파악이 가능해진다. 또한 학생이 느끼는 몰입도가 높아져 집중도가 높아질 것이다.
그리고 상업면에서 혁신 요소가 있을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터넷 쇼핑이 급부상하였다. 하지만 온라인으로 구매한 물건은 구매자가 예상했던 것과 달라 쓰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오프라인으로 하는 쇼핑은 매장을 방문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메타버스 환경에서는 옷을 경험할 수 있고, 개인에 특화된 상품 경험이 가능해진다. 또한 오프라인 쇼핑으로 발생하는 시간, 비용이 감소한다.
다국적 기업에도 효율적인 혁신을 가져올 것이다. 이전에 다른 지사에 문제가 생기면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책임자가 그 나라에 방문하여 해결한다. 그러면 이동비용, 시간이 필요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능하다.
메타버스 환경에서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지고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메타버스 개념은 보안을 전공하는 내 입장에서 보면 안전조치가 많~이 필요하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메타버스의 상용화는 보안적으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메타버스로 가상 공간에서 생활을 하게 된다면 현재 자신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의사소통하여 가상공간의 체험을 하기 때문에 자신의 정보가 메타버스 네트워크로 전송될 것이다.
이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크다.
그리고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사업을 진행하는 기업의 경우, 해킹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메타버스는 생겨난지 얼마 안된 플랫폼으로써 기존에 사용하던 네트워크와는 다른 새로운 보안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너무 높기 때문이다.
범죄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메타버스에서 거래를 하는 이용자들은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거래를 할 것이다. 이 디지털 자산과 관련한 신종 금융범죄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 또한 최근 이슈화된 디지털 성범죄 문제 등 강력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메타버스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포함하기 때문에 데이터 편향성이나 인공지능의 윤리적인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사실 인터넷이 생겨나면서 발생한 문제들이 더 크게 다시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메타버스는 인터넷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환경이기 때문에 이에 몰입하고,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이 증가할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법제 마련, 보안기술 도입 등이 필요하다.
'SECURITY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감독원에서 발행한 2022 디지털금융 및 사이버보안 이슈 전망 (0) | 2021.12.29 |
---|---|
자율주행자동차 보안문제점(외부, 내부 네트워크, 전장플랫폼)과 보안 시스템 / 보안 법제 현황(미국, 영국, 한국, 일본) (0) | 2021.12.14 |
사상 최악의 취약점 Log4Shell 이게 뭐지? :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 CVE-2021-44228 (0) | 2021.12.13 |
아파트 월패드 해킹 이슈 : 홈가전 IoT 보안가이드 (0) | 2021.11.30 |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운영하는 털린 내 정보 찾기 직접 해봤다! (0) | 2021.11.16 |